1 minute read

포트포워딩 (port forwarding) ?

포트를 열어주는 것이다.

포트포워딩 과정 흰색

위와 같이 닫힌 문 ( 포트 ) 잠긴 문을 열어주는 행위 (포트포워딩) 라고 생각하면 된다.

간단 과정

본인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서 진행을 할 것이다.

포워딩 순서 흰색

IPTIME

IPTIME에서 우선 PortFoward를 해준다.

고급설정 – NAT/라우터 관리 – 포트포워드 설정

IPTIME 설정

인바운드 설정 ( Window 방화벽 설정 )

인바운드 ( Inbound ) 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연결할 떄 사용할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아웃바운드( Outbound ) 는 반대 개념이다.

Win + R 을 눌러 실행창에 wf.msc 를 검색하여 실행하거나

Win 을 눌러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을 검색하여

고급 방화벽을 실행시킨다.

image

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것이 나오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

인바운드 –> 새 규칙 –> 포트를 클릭하고 진행해준다.

image

본인이 TCP 혹은 UDP를 선택하고, 원하는 Port번호를 설정하여 진행한다.

이것 이후는 본인이 원하는 보안 규칙에 맞게 설정해주면 된다.

인바운드 03

Virtual Box

원하는 VM에서 마우스 우클릭 + 설정을 누른 다음 네트워크에서 아래와 같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.

호스트 Port에 위에서 열어준 Port를 작성하면되고, 게스트 포트에 VM내부에서 사용할 Port를 작성하면된다.

VM입장에서보면 Host Port 는 외부 포트고, Guest Port는 내부 포트다

내부 / 외부 포트를 모르겠으면 위로 올라가 다시 읽고오면 된다.

Virutal Box

Centos 07 Firewalld

이제 마지막으로 VM내부 즉 Linux에서 방화벽을 열어주면 된다.

방법은 2가지다.

  1. 방화벽을 꺼버린다
# centos07 기준

# 방화벽 중지 (  서버를 재시작하면 다시 실행됨 )
systemctl stop firewalld
# 방화벽 완전 사용 중지 ( 서버를 재시작해도 실행 안됨 )
systemctl disable firewalld

보안을 생각하면 권장하지 않는다.

  1. 해당 포트를 열어준다
# centos07 기준

# 포트 열기
# --permanent : 1회성이 아니고 계속 열림
# --zone=public : zone 설정은 Public 즉 모든 서비스에 대하여 열것
#  --add-port=12345/tcp : 포트번호는 12345 , 방식은 tcp인 포트를 추가할 것이다.
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12345/tcp

# 방화벽 리스트 다시 가져오기
firewall-cmd --reload

# 방화벽 리스트 및 열린 포트 확인
firewall-cmd --list-ports

결론

  1. 공유기 : IPTIME
  2. 서버 ( 원격지 ) : Window
  3. 가상머신 : Virtual box
  4. 가상머신 OS : Centos07

위와 같이 4가지 조건이면, 왠만하면 포트가 성공적으로 열릴 것 이다.

성공여부는 Ping을 보내서 확인해보면 된다.

Port까지 사용하여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개지만

본인은 윈도우에서는 TCPING(TCP Ping의 약자인듯)을 사용하고, Linux에서는 telnet을 이용하여 포트가 잘 열렸는지 확인한다.

Comments